본문 바로가기
운이네하루

양주눈꽃썰매장

by 로로지녕 2025. 1. 31.
반응형

 

◆ 겨울에는 역시 양주눈꽃썰매장

 

안녕하세요. 겨울에 실내에서 노는 것도 좋지만 겨울을 제대로 만끽하기 위해서는 밖에서  신나게 노는 것도 좋은 거 같아 아이들이 즐겁게 놀 수 있는 눈썰매장을 가기로 하였습니다. 겨울을 겨울답게 보낼 수 있는 곳으로 서울근교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좋은 곳을 찾다 보니 양주눈꽃썰매장이 있더라고요.

 

양주눈꽃썰매장은 서울근교라 접근성이 좋을뿐 아니라 자동썰매운반시스템이 있어서 힘들게 썰매를 들고 다닐 필요가 없어서 좋았습니다. 또한 썰매길이가 길어서 스릴과 재미를 동시에 느낄 수 있는 곳이더라고요. 그리고 눈썰매뿐만 아니라 얼음썰매, 포대썰매, 빙어 잡기 등 다양한 놀이 콘텐츠가 있어서 하루종일 즐겁게 놀 수 있는 장소였습니다.

 

춥다고 실내에서만 겨울을 보내지 마시고 아이들과 함께 눈과 얼음위에서 다양한 활동을 즐기며 아이들은 에너지 발산을 하고 어른들은 동심으로 돌아가 재미있는 하루를 보내시길 바랍니다. 겨울에는 역시 양주눈꽃썰매장으로 방학이 끝나기 전에 가족과 함께 다녀오시길 바랍니다.

 

 

목차

     

     

    ◈ 위치 및 소개

     

    ▶ 주소: 경기 양주시 장흥면 권율로 592

    ▶ 이용시간: 오전10시 ~ 오후 5시 / 입장 오후 3시까지

    ▶ 이용일자: 24.12.27 ~ 25.2.9까지

    ▶ 휴무일: 매주 화요일

    ▶ 요금: 네이버예매 시 할인가능

    평일 15,000원 / 주말 18,000원

    ▶ 주차: 무료주차가능

     

     

     

    ◈ 놀이시설 및 특징

     

    ▶ 입장 시 오르막이 심해서 힘들 수 있음

    ▶ 자동썰매운반시스템으로 편한 이용 가능

    ▶ 줄줄이 눈썰매: 서울,경기권에서 가장 긴 200m 슬로프로 국내 유일의 가족이 함께 탈수있는 줄줄이눈썰매 

    ▶ 눈꽃썰매: 140m의 슬로프로 어린이와 성인이 이용하기 좋은 눈썰매

    ▶ 유아전용썰매장: 유아 및 7세 이하 어린이들이 즐길 수 있는 아담한 눈썰매

    ▶ 얼음썰매: 부모님이 밀어주며 타는 얼음썰매

    ▶ 포대썰매: 포대로 즐기는 아담한 눈썰매

    ▶ 빙어 잡기: 재미있게 빙어 잡기도 즐기고 튀김도 먹을 수 있음

    ▶ 실내 푸드코트: 한식과 중식

    ▶ 실외 푸드트럭: 치킨, 타코야끼, 라면등

     

    하루종일 재미있게 놀 수 있는 거리가 많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놀았습니다. 먹거리도 많아서 놀다가 배고프면 식사도 즐긴 후 또 놀기 좋더라고요. 날씨가 추운데도 추운 줄도 모르고 아이들이 너무 잘 놀아 오길 잘했다고 생각했습니다. 겨울을 겨울답게 제대로 즐기기 좋은 양주눈꽃썰매장이었습니다.

     

     

    ◈ 방문꿀팁

     

    ▶ 12시가 되면 사람이 많아지니 오픈런에서 10시부터 12시까지 즐기기

    ▶ 아이들 스키복 필수

    하도 뒹굴러서 옷이 다 젖음

    ▶ 방수장갑필요

    ▶ 핫팩 필수

    ▶ 따뜻한 옷차림 필수

    ▶ 입장 시 오르막이 심해서 간편한 짐만 들고 가기 추천

     

     

    ◈ 이용후기

     

    얼마 남지 않은 겨울 특별한 추억을 만들고 싶다면 양주눈꽃썰매장으로 방문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눈 위에서 시간을 보내고 빙어 잡기 체험으로 겨울만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더라고요. 겨울방학, 주말 나들이로 강력 추천하는 장소로 아이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남겨주기 좋았습니다. 춥지만 신나게 뛰어놀고 눈썰매 타고 하니 아이들이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놀더라고요.

     

    정말 하루종일 놀기 좋았던 장소였습니다. 어른들이 추워서 나가기 싫지 아이들은 추운 줄도 모르고 쉴 새 없이 잘 노는 모습을 보니 뿌듯했습니다. 내년 겨울에도 방문해서 신나게 놀아야겠더라고요. 서울근교에 위치해 접근성도 좋아 방문하기 좋았던 양주눈꽃썰매장 너무 재밌게 잘 놀았던 곳으로 꼭 방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 지도

     

     

    반응형